●이동평균선: 특정기간 주가의 평균. 특정기간 동안 투자해온 투자자들의 '평균매수가'를 의미함
일반적으로 이동평균선의 기간이 짧을 수록 지지와 저항은 약함
V20일 이동평균선이 10,000원이라면?
'지지'란?
현재 주가가 10,000원(20일 이동평균선)위에 있을 때
10,000원 이하로 하락하는 경우 그 동안 주식을 산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손실을 입게 되므로 10,000원을 지키려고 노력
'저항'이란?
현재 주가가 10,000원(2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을 때
주가가 반등을 하여 10,000원에 접근을 하면 그 동안 손실을 보고 있던 투자자들 중 투자 원금 수준에서 팔려는 투자자들이 나타남
1)강한 상승이 진행중인 주식은 이동평균선의 지지를 받으면서 상승 지속
2)하락 진행중인 주식의 경우 이동평균선의 저항을 받아 상승이 저지
3)저지가 깨지고 나면 이동평균선은 저항선으로 작용
4)주가가 이동평균선 위로 올라가면 매수(사는) 시점
5)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로 내려오면 매도(파는) 시점
■보조지표
1.OBV(On balance volume)
2.VR
3.볼린저 밴드
-일정기간 동안의 이동평균에서 표준편차의 일정배수를 가감하여 상하의 밴드를 결정하며 가격의 변동이 심하면 밴드의 폭이 커지고 가격이 안정적으로 움직이면 밴드의 폭도 감소함
-추세중심선은 이동평균선을 사용하며 상,하한 변동폭은 추세중심선의 표준편차로 결정한다.
-과도매입,과도매도의 지표
*매수:하한선 근처에서 주가가 움직일때 (과도매도)
*매도:상한선 근처에서 주가가 움직일때(과도 매수)
4.Stochastic: K % , %D
'재무관리 > 증권분석,기업가치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가치평가모형 -3)EVA (0) | 2022.05.24 |
---|---|
기업가치평가모형-2)초과이익할인모형(RIM) (0) | 2022.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