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3

재무관리 문제

[기본 개념] 개별 자산의 수익률은 독립적으로 결정되고 움직이지 않음. 경제가 호황이라면 보통은 수익률이 좋은 방향으로 움직임. 이때 알아두어야 할 개념이 공분산(covariance). 두 자산의 수익률이 서로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지(움직이는 방향이 같은지 또는 다른지)를 추정하는 지표. 공분산이 양수라면 두 자산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거고, 음수라면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그런데 공분산 값은 범위 제한이 없음. 그래서 투자전문가들은 두 자산의 수익률의 움직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공분산 대신 -1~+1의 범위를 가지고 있는 상관계수를 주로 이용함. 상관계수는 공분산을 표준화 한 것. 자산 a,b의 상관계수= 두 자산 간 공분산/(a자산 표준편차 X b자산 표준편차) [하마다 모형] 이..

재무관리 2023.06.26

32비트 CPU에서 64비트 데이터 처리

궁금했던 것_) 용량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어떻게 한다는 건지? 클릭 수 한번으로 해당 데이터만큼의 양을 처리할 수 있다는 소리인가...? 고성능의 하이엔드 제품을 제외하고 32비트 계열이 주력으로 사용되는 컴퓨터가 많음. 임베디드의 특징은 결코 오버스펙(Over-spec)하지 않는 것. 비용이 최대 관심사이기 때문 64비트 CPU는 주소를 표현하는 비트가 64개라는 소리. 그래서 32비트 CPU를 가진 디바이스는 최대 4GB메모리만을 사용할 수 있음. 실제 4GB도 전부 사용할 수 있는 건 아님. 이 주소공간에는 롬(ROM)영역도 포함되기 때문 컴파일러에서 64비트 변수가 사용되면 32비트 메모리를 두개를 잡는다. CPU 내부의 레지스터(register)로 64비트 데이터를 연산할 때는 두개를 잡아서 ..

예시와 함께 이해하는 p-value와 유의수준 및 임계값

먼저, 살펴볼 개념에 대해서 이야기 하자면, [목차] 1.귀무가설 및 대립가설 2. p-value의 의미 3. 1종 오류 및 2종 오류 - 1종 오류와 2종 오류는 서로 상반된다. - 유의수준의 개념( 1종 오류의 최대 허용치) 4. 임계값(+검정력)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Ho: 00후보에 대한 참 지지율이 0.3보다 낮다. (귀무가설) H1: 00후보에 대한 참 지지율이 0.3 이상이다. (대립가설) (참 지지율이라는 의미는 실제 모수의 비율을 강조하기 위함) P-value의 의미 p-value는 유의확률. "귀무가설 하에서 관측된 사건 이상으로 귀무가설에 반하는 사건이 일어날 확률" 예를 들어 성인 500명(표본)을 추출해서 이 후보에 대한 지지율을 구했더니 0.38이 나왔다.(관측값). 이 관측값이 ..

피어슨과 스피어만 상관계수 차이

피어슨과 스피어만 계수의 비교 양의 상관관계에서 한 변수가 1만큼 증가하면 다른 변수가 1만큼 증가하면 이 관계는 완전한 선형을 정의하므로 스피어만 상관계수도 +1이 된다. 그러나 한 변수가 증가하면 다른 변수가 증가하지만, 일정하지 않은 관계인 경우 Pearson상관 계수는 양수이지만 +1보다 작다. 이 경우 Spearman계수는 여전히 +1이다. 음의 상관관계도 마찬가지.